진천군청에서 동북쪽으로 9.9km에 위치. 진천군의 동북부에 위치하여 동쪽은초평면과 음성군 맹동면, 서쪽은 진천읍과 이월면 남쪽은 진천읍, 북쪽은 음성군 맹동면과 대소면에 각각 접하고 있습니다.
면적 (㎢) |
리 | 반 | 마을 | 세대수 | 인구(명) | |||
---|---|---|---|---|---|---|---|---|
법정 | 행정 | 계 | 남 | 여 | ||||
35.26 | 12 | 49 | 177 | 49 | 13,894 | 31,357 | 16,582 | 14,775 |
진천군 7개 읍ㆍ면의 하나. 본래 진천군의 지역으로서 덕문면이라 하여 上德(상덕), 次上(차상), 次下(차하), 中里(중리), 長尺(장척), 山直(산직), 上加(상가), 石灘(석탄), 中加(중가), 下加(하가), 斗得(두득), 新垈(신대), 牛里(우리)의 13개 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군면폐합에 따라 방동면의 梅山(매산), 仁山(인산), 濕地(습지), 高尺(고척), 中方(중방), 上方(상방), 下方(하방), 花城(화성), 高水(고수), 山直(산직), 上古(상고)의 11개 리와 所沓面(소답면)의 加尺(가척), 농소호촌, 목동, 통동, 閑川(한천), 加新(가신), 新垈(신대), 大月(대월), 妙峯(묘봉), 龍沼(용소), 牧新(목신), 上牧(상목)의 13개 리와 山井面(산정면)의 石灘(석탄), 機池(기지), 永酒院(영주원), 上九(상구), 下九(하구), 玉洞(옥동), 龍沼(용소), 斗村(두촌), 東山(동산), 道長(도장), 花田(화전), 善玉(선옥), 鳳臺(봉대), 斗中(두중), 內洞上(내동상), 內洞下(내동하), 內洞新(내동신), 斗山(두산) 帳岩(장암), 馬頭(마두), 永新(영신), 台下(태하), 三台(삼태)의 23개 리와 北邊面(북변면)의 支石(지석)과 瓮岩(옹암)의 2개 리와 南邊面(남변면)의 新井里(신정리)의 각 일부와 陰城郡孟洞面(음성군맹동면)의 下石(하석), 斗酒(두주), 大化(대화),上敦(상돈), 下敦(하돈), 新村(신촌)의 6개 리를 편입하여 덕문면과 산정면의 이름을 따서 덕산면이라 하여 龍夢(용몽), 新尺(신척), 한천, 合牧(합목), 花上(화상), 九山(구산), 機田(기전), 斗村(두촌), 石帳(석장), 옥동, 山水(산수), 三德(삼덕), 五甲(오갑), 仁山(인산), 上新(상신), 山尺 (산척), 中石(중석)의 17개 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29년 12월7일 충청북도령 제15호에 의거 삼덕리는 진천읍에 五甲里(오갑리)는 초평면에 넘겨주어 15개 리가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1983년 1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에 의거 上新(상신), 山尺(산척)리가 진천읍으로 中石里(중석리)가 초평면으로 편입되어 현재 12개 리를 관할하였습니다.
본면의 대부분이 100m이하의 평지이며 중앙에 미호천의 지류들이 남류하고 있으며, 일부 구릉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경지로 이용됩니다.
경지율이 아주 높아 군내 쌀생산의 주산지입니다. 고추, 옥수수, 콩 등이 구릉지인 밭에서 산출되고 있으며 또한 군내 엽연초 생산의 중심지이고 과수면적이 많은 지역입니다.
용몽리를 중심으로 도로가 방사선으로 발달하여 진천읍 음성등지로 연결됩니다.
고등학교 1개교, 중학교3개교, 초등학교 3개교가 있습니다.
문화재로, 산수리 백제토기요지(사적 2호)와 송인묘소 (기념물 8호)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