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역사인물 홈 진천소개역사와 상징주요역사인물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sns 공유 목록 닫기 인쇄하기 김유신 송인 임연 최유경 김덕숭 정철 이영남 강세황 이상설 신팔균 조명희 김유신(金庾信) [595~673] 충청북도 진천 출신으로 신라의 삼국통일을 이끈 무신 15세에 화랑이 되어 용화향도(龍華香徒)를 이끔. 진천읍 상계리에 김유신장군 탄생지가 있으며, 태령산에 장군의 태를 안치한 태실이 있음. 진천 김유신장군 탄생지와 태실이 1999년 6월 11일 국가사적 제414호로 지정됨. 835년(흥덕왕 10) 흥무대왕(興武大王)에 추존, 진천군 길상사와 경주시 서악서원 등에 배향됨. 송인(宋仁) [?~1126] 고려 시대 문인, 진천 송씨의 시조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에서 출생 고려 인종때 이자겸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호위하다 피살 묘소는 덕산면 두촌리에 위치(충청북도 기념물 제91호) ‘조선환여승람’에 진천에서 오래 된 분묘라는 기록이 전해짐. 임연(林衍) [?~1270] 고려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무신이자 권신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태어남. 무인 정권기에 대몽항쟁을 이끔. 문백면 구곡리 장열사(사당)에 임영장군의 영정을 봉안함. 최유경(崔有慶) [1343~1413] 고려 말 조선 초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할 때 공을 세워 개국원종공신에 녹훈 왕의 신임으로 여러 차례 특사를 맡음. 태종 때 청백리에 녹선(錄選) 문백면 구곡리에 최유경과 그의 아들 최사흥의 부자 효자문이 있음. 김덕숭(金德崇) [1373~1448] 삼강행실도에 기록된 조선 전기의 효자 한산군수에 제수되었으나 팔십 노부모를 모시기 위해 사직하고 부모봉양에 힘써 사후 삼강행실도에 기록됨. 묘소와 신도비는 문백면 평산리에 있음. 이월면 사곡리에 그의 효행을 기리는 효자각(충청북도 기념물 제134호)이 있음. 정철(鄭澈) [1536~1593]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대가, 문인 가사 문학의 대가로 국문학 사상 중요한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성산별곡(星山別曲)」 등의 가사 작품과 시조를 남김. 문백면 봉죽리에 묘소(충청북도 기념물 제106호)와 신도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7호), 정송강사(사당, 충청북도 기념물 제9호)가 있음. 이영남(李英男) [1563~1598]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무신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장군이 지휘하는 전라좌수군 지원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장군을 보좌하여 역전(力戰)하다 함께 전사 덕산면 기전리에 묘소(충청북도 기념물 제144호)와 사당(충용사)이 있음. 전남 완도군 고금도 충무사에 이순신장군과 함께 배향되어 있음.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이자 평론가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이자 평론가. 김홍도의 스승이었으며, 산수 사군자에 뛰어남. 문백면 도하리에 묘소(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가 있음. 주요작품으로 송도기행첩, 자화상, 현정승집, 첨재화보, 벽오청서도 등이 있음. 이상설(李相卨) [1870~1917]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진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산직마을에서 출생 1906년 간도 용정촌에 근대적 항일 민족교육의 요람인 서전서숙(瑞甸書塾)을 설립하고 신학문과 항일 민족교육을 실시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에 이준과 이위종을 부사로 삼아 특사로 파견 러시아에 최초의 독립운동기지 한흥동 건설, 1914년 대한광복군 정부 세움. 진천읍 산척리에 생가(충청북도 기념물 제77호)와 사당(숭열사)가 있음. 신팔균(申八均) [1882~1924]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평산(平山). 호는 동천(東川), 자는 윤수(允壽). 전통적인 무반 가문의 후예로서 구한말 시위대에서 근무 1908년 진천 이월면 보명학교(지금 이월초등학교) 운영에 참여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 독립군 양성, 대한통의부 군사위원장 역임 1924년 독립군 훈련지에서 군사훈련 중 순국 조명희(趙明熙) [1894~1938] 개항기에 활동한 문학가(시인, 소설가, 극작가) 진천읍 벽암리 수암 출생, 호는 포석(抱石)·목성(木星), 필명은 적로(笛蘆) 대표작품 김영일(金英一)의 사(死), 파사(婆娑), 땅속으로, 낙동강, 봄 잔디밭 위에 등 1988년 중앙 아시아 한인 거주지역인 타슈켄트에 문학기념관이 세워짐. 디지털문화대전 연결하기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