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진천군 보건소

우리군 방역소독 방향

그동안 감염병예방과 위생해충을 구제하기 위하여 지난 60년대부터 연막방역소독을 실시하여 왔으나 연막소독은 분무소독에 비해 해충구제 효율이 떨어지고, 소독방법이 소독약제와 경유나 등유를 혼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소시켜 연기를 뿜어내기 때문에 맑은 공기를 향유하려는 일부 시민 및 환경단체로부터 반론이 제기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우리군에서는 앞으로 연막소독은 수목지역, 공원, 복개하천개구부 등 모기가 은신하고 있는 취약지역만 실시하고, 고지대, 골목길에서도 원활한 소독이 가능한 분무소독을 강화하는 한편, 하천, 하수구, 웅덩이등 모기유충 서식지에 대하여 다른 생태계는 파괴되지 않고 모기유충만 살상시켜 번식력을 근본적으로 억제 차단하는 유충소독에 역점을 두어 과학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방역소독을 실시 하고자 합니다.

살균,살충소독

감염병 발생예방을 위하여 취약지역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실시함으로써 파리, 모기 등 위생해충을 구제하고 있으며, 특히, 감염병이 유행하는 하절기에는 분무소독과 유충구제로 집중적인 방역활동을 실시합니다.
  • 기간 : 살균소독(연중), 살충소독(6~10월 집중실시)
  • 대상 : 취약지역 및 후생시설, 유원지·하천주변, 전염병환자 발생지역, 기타 해충다발지역 등

분무소독과 연막소독의 비교

분무소독과 연막소독의 비교 - 분무소독, 연막소독, 유충구제의 장점과 단점 정보입니다.
구분 분무소독 연막소독 유충구제
장점
  • 해충 서식지나 출현장소에 직접 소독액을 살포, 접촉작용 하여 치사시키는 방법으로 살충효과가 크다.
  • 높은 열에 의한 살충제 입자파괴가 없으므로 보다 좋은 구제효과를 발휘한다. 연막형성이 없으므로 차량이나 왕래하는 사람에게 교통상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
  • 살포면적이 넓다.
  • 숲이 우거진 지역과 같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지역에서도 깊숙이 살충제 입자가 도달할 수 있다.
  • 지하공간과 같은 밀폐된 곳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 모기유충을 구제하므로 성충의 원천적인 방제효과가 있다.(유충 1마리 구제로 500마리 박멸효과)
  • 환경오염이 없다.
  • 유충서식지 제거 등 주민 참여가 용이하다.
단점 살포 면적이 좁다.
  • 가열성, 휘발성이므로 살충제일부가 파괴되어 약효 감소,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 소독시간에 제한(일몰후, 일출전 소독)을 받는다.
  • 연막형성으로 교통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유충구제제 가격이 다소 비싸다. 유충서식 유무 조사에 많은 인원이 소요된다 (주민협조 필요)

유충구제

  • 기간 : 5~10월
  • 대상 : 10T이상 정화조, 소하천 등
  • 방법
    • 월 1회 유충조사 및 정화조 유충구제제 살포
    • 주 1~2회 관내 소하천 친환경 유충구제제 살포

한컵 정도의 고인 물에서도 모기 유충이 서식하므로 소량의 고인물(마당이나 옥상의 폐타이어, 빈깡통, 페트병, 화분 받침대 등) 제거는 주민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방역기동반 신고센터 운영

  • 신고기간 : 연중
  • 신고처 : 진천군 보건소 감염병대응팀(☎ 539-7331, 7334)
  • 조치내용 : 방역기동반이 주민이 파리ㆍ모기로 인한 신고시 현지 출동하여 분무살충·살균소독실시
자료관리 담당자
  • 보건행정과 감염병대응팀 043-539-7334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