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소독사업
우리군 방역소독 방향
그동안 감염병예방과 위생해충을 구제하기 위하여 지난 60년대부터 연막방역소독을 실시하여 왔으나 연막소독은 분무소독에 비해 해충구제 효율이 떨어지고, 소독방법이 소독약제와 경유나 등유를 혼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소시켜 연기를 뿜어내기 때문에 맑은 공기를 향유하려는 일부 시민 및 환경단체로부터 반론이 제기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우리군에서는 앞으로 연막소독은 수목지역, 공원, 복개하천개구부 등 모기가 은신하고 있는 취약지역만 실시하고, 고지대, 골목길에서도 원활한 소독이 가능한 분무소독을 강화하는 한편, 하천, 하수구, 웅덩이등 모기유충 서식지에 대하여 다른 생태계는 파괴되지 않고 모기유충만 살상시켜 번식력을 근본적으로 억제 차단하는 유충소독에 역점을 두어 과학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방역소독을 실시 하고자 합니다.
살균,살충소독
감염병 발생예방을 위하여 취약지역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실시함으로써 파리, 모기 등 위생해충을 구제하고 있으며, 특히, 감염병이 유행하는 하절기에는 분무소독과 유충구제로 집중적인 방역활동을 실시합니다.
- 기간 : 살균소독(연중), 살충소독(6~10월 집중실시)
- 대상 : 취약지역 및 후생시설, 유원지·하천주변, 전염병환자 발생지역, 기타 해충다발지역 등
분무소독과 연막소독의 비교
구분 | 분무소독 | 연막소독 | 유충구제 |
---|---|---|---|
장점 |
|
|
|
단점 | 살포 면적이 좁다. |
|
유충구제제 가격이 다소 비싸다. 유충서식 유무 조사에 많은 인원이 소요된다 (주민협조 필요) |
유충구제
- 기간 : 3~12월
- 대상 : 집수조, 맨홀, 정화조, 침사지 등
- 방법 : 월1회 유충조사 및 유충구제제 살포
한컵 정도의 고인 물에서도 모기 유충이 서식하므로 소량의 고인물(마당이나 옥상의 폐타이어, 빈깡통, 페트병, 화분 받침대 등) 제거는 주민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방역기동반 신고센터 운영
- 신고기간 : 연중
- 신고처 : 진천군 보건소 감염병대응팀 (☎ 539-7331, 7333)
- 조치내용 : 방역기동반이 주민이 파리ㆍ모기로 인한 신고시 현지 출동하여 분무살충·살균소독실시
자료관리 담당자
- 보건행정과 감염병대응팀 이은호 (043-539-7333)
- 최근 업데이트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