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탑은 연곡리사지(蓮谷里寺址)와 관련된 탑으로 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층마다 따로 만들어 합쳐 놓은 것이다.
탑신은 3개로 나뉘어져 3층탑이라고도하고 탑 위 부분이 2개 더 있어 5층탑이라고도 한다.
백비와 같은 연대에 건립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탑의 높이는 기단서부터 탑정까지 2m50cm가 된다.
※ 자료 : 진천군지
어느 때인지는 알 수 없으나 무너졌던 석탑 부재들을 모아 다시 세운 것으로 보이는데, 결실된 부분이 많다. 규모가 작은 탑으로 기단은 이중기단이고, 3층과 상륜부는 결실되었다. 초층 탑신에는 양 우주(隅柱)·문비(門扉)·자물통 등이 모각되어 있고, 옥개석의 층급 받침은 4단이다. 지대석은 2매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3매석으로 결구된 하층기단이 놓여 있다. 하층기단의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2구씩 배치되어 있다.
상층기단 갑석의 윗면은 완만하며 그 위에 1단의 괴임대로 상층기단을 받고 있다. 상층기단의 면석은 각 면에 1매씩 4매의 판석으로 조립하였으며, 양쪽 모서리의 우주는 각출되었으나 탱주는 모각되지 않았다. 상층기단의 갑석은 1매석으로 만들어졌는데 아랫면에 3단의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1단의 탑신괴임이 조출되었다. 탑신부는 옥신과 옥개석이 모두 1매석으로 이루어졌는데, 각 층의 옥신에는 양 우주가 표현되었으며 1층 옥신의 동면에는 문비형과 자물통이 사실적으로 양각되어 있다.
3층이 결실된 각 층의 옥개석 아랫면에는 낙수홈이 패여 있고 옥개받침은 4단씩이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경사가 급한 편이며 전각의 반전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옥개석 윗면에는 1단의 각형의 옥신괴임이 조출되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복발(覆鉢)·앙화(仰花)·보개(寶蓋)·보륜(寶輪)이 남아 있으나, 현재 순서에 맞지 않게 대략 크기대로 올려놓아 원형을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