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분야별 정보
바로가기
분야별 정보
사회복지
재난/안전
산업/경제
환경/위생
세금/재정
부동산/건축
교육/문화
농업기술센터
보건소
체육진흥지원단
진천군청
열린군수실
진천군의회
진천관광
생거진천자연휴양림
일자리지원센터
공공체육시설
분야별 정보
로그인
KOR
ENG
CHN
JAP
VIET
진천군 홈페이지
진천관광
분야별 정보
메뉴닫기
문화/유적/공원
문화
진천종박물관
박물관소개
관람정보
전시/교육
예약/신청
기증 기탁
알림마당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미술관소개
이용안내
전시안내
판화체험안내
체험프로그램 신청
알림마당
포석조명희문학관
문학관소개
시설안내
프로그램 안내
예약/신청
주철장전수교육관
화랑관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참숯전시관
전시관소개
참숯정보
참숯판매처
프로그램안내
휴양림/공원/산림
휴양림/공원
만뢰산 자연생태공원
역사테마공원
화랑공원
생거진천 자연휴양림
미르숲
산림
임도
공원현황
등산로현황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기념물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비지정문화유산
사당
정문
비
전통사찰
불교유적
절터
정자
관방유적
기타
디지털진천문화대전
관광명소
추천명소
진천종박물관
주철장전수교육관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역사테마공원
배티성지
보탑사
진천 전통시장
중앙시장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농다리
농다리 스토리움
초롱길
하늘다리
초평호
초평호 미르309 출렁다리
한반도지형
초평붕어마을
포석조명희문학관
역사문화
길상사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연곡리 석비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정송강사
진천향교
이상설 생가‧기념관
산수리 마애여래좌상
생태자연
교육체험
여가생활
진천VR투어
추천명소
역사문화
생태자연
교육체험
농촌체험마을
상산팔경
상산팔경은?
재미있는이야기
추천코스
역사탐방 코스
웰빙관광 코스
문화관광 코스
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갤러리
생거진천농다리축제
연간 문화예술행사 및 축제 안내
공연/전시/프로그램
공연/전시
체험/기타
프로그램 신청
여행도우미
교통정보
시내버스
시외버스
숙박 정보
숙박업소
농어촌민박
음식점 정보
자랑거리 100선
두근두근 생거진천보물찾기
문화ㆍ관광
경제ㆍ사회
교육
여행코스
관광안내지도 다운로드
관광안내지도신청
관광통역안내전화
문화관광해설사
관광지간 거리안내
로그인
ENG
CHN
JAP
VIET
인기검색어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뛰어난 자연경관,
찬란한 역사
진천
문화/유적/공원
문화
휴양림/공원/산림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기념물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비지정문화유산
사당
정문
비
전통사찰
불교유적
절터
정자
관방유적
기타
디지털진천문화대전
홈
문화/유적/공원
문화유산
비지정문화유산
비
비
검색
공유
sns 공유 목록 닫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인쇄
미리보기 문서로 변환중입니다.
의병장 한봉수 의거비
분류
비지정문화유산 >
거주지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 547-2
지정
비지정 문화재
규모
2m
재료
오석
관련 이미지
상세내용
한 봉수는 청원군 북일면 세교리(淸原郡北一面細橋里)에서 출생하였다. 1906년에 일본은 우리나라를 넘보려는 야욕을 품고 압력을 다하여 한국의 군인의 일부는 항일운동의 선봉자가 되기도 하였다.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삼천리 강산에는 어디를 가던지 항일운동(抗日運動)이 벌떼처럼 일어났다. 한공도 해산군인 10여명과 생사를 같이 할 것을 맹세하고 1907년에 의거의 횃불을 들었다. 조국의 독립을 되찾기 위하여 죽음을 무릅쓰고 의병을 일으켰으니 그 시작이 진천이다.
아무 생각없이 혼자서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文白面 道下里)를 지나가다가 일본 헌병기마대가 진천방면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목격 그들을 습격할 것을 결심 지름길을 뛰어 문백면 봉죽리 석보(鳳竹里 石洑)마을까지 한숨에 달렸다.
거기서 농사일을 하고 있는 박병화(朴秉化)씨가 입고 있는 옷으로 갈아 입는 한편 이 흥직(李興稷)씨가 지고 있는 지게를 달라고 하여 그 지게를 지고 농부로 위장 보리밭에 숨어 있다가 시마사끼 상등병 등 3명의 헌병을 습격시 마사끼는 현장에서 즉사하고 2명은 도주하였다.
거사후 공은 지게와 옷을 벗어 놓고 계산리(溪山里) 산속으로 유유히 사라졌다.
이곳이 한봉수 의병장이 일본 헌병을 사살한 최초의 장소이며, 그 뜻을 기리기 위하여 의거비를 건립하였다.
※ 자료 : 진천군지
찾아오시는 길
지도 건너뛰기
목록
자료관리 담당자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43-539-4082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