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분야별 정보
바로가기
분야별 정보
사회복지
재난/안전
산업/경제
환경/위생
세금/재정
부동산/건축
교육/문화
농업기술센터
보건소
체육진흥지원단
진천군청
열린군수실
진천군의회
진천관광
생거진천자연휴양림
일자리지원센터
공공체육시설
분야별 정보
로그인
KOR
ENG
CHN
JAP
VIET
진천군 홈페이지
진천관광
분야별 정보
메뉴닫기
문화/유적/공원
문화
진천종박물관
박물관소개
관람정보
전시/교육
예약/신청
기증 기탁
알림마당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미술관소개
이용안내
전시안내
판화체험안내
체험프로그램 신청
알림마당
포석조명희문학관
문학관소개
시설안내
프로그램 안내
예약/신청
주철장전수교육관
화랑관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참숯전시관
전시관소개
참숯정보
참숯판매처
프로그램안내
휴양림/공원/산림
휴양림/공원
만뢰산 자연생태공원
역사테마공원
화랑공원
생거진천 자연휴양림
미르숲
산림
임도
공원현황
등산로현황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기념물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비지정문화유산
사당
정문
비
전통사찰
불교유적
절터
정자
관방유적
기타
디지털진천문화대전
관광명소
추천명소
진천종박물관
주철장전수교육관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역사테마공원
배티성지
보탑사
진천 전통시장
중앙시장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농다리
농다리 스토리움
초롱길
하늘다리
초평호
초평호 미르309 출렁다리
한반도지형
초평붕어마을
포석조명희문학관
역사문화
길상사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연곡리 석비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정송강사
진천향교
이상설 생가‧기념관
산수리 마애여래좌상
생태자연
교육체험
여가생활
진천VR투어
추천명소
역사문화
생태자연
교육체험
농촌체험마을
상산팔경
상산팔경은?
재미있는이야기
추천코스
역사탐방 코스
웰빙관광 코스
문화관광 코스
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갤러리
생거진천농다리축제
연간 문화예술행사 및 축제 안내
공연/전시/프로그램
공연/전시
체험/기타
프로그램 신청
여행도우미
교통정보
시내버스
시외버스
숙박 정보
숙박업소
농어촌민박
음식점 정보
자랑거리 100선
두근두근 생거진천보물찾기
문화ㆍ관광
경제ㆍ사회
교육
여행코스
관광안내지도 다운로드
관광안내지도신청
관광통역안내전화
문화관광해설사
관광지간 거리안내
로그인
ENG
CHN
JAP
VIET
인기검색어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뛰어난 자연경관,
찬란한 역사
진천
문화/유적/공원
문화
휴양림/공원/산림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기념물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비지정문화유산
사당
정문
비
전통사찰
불교유적
절터
정자
관방유적
기타
디지털진천문화대전
홈
문화/유적/공원
문화유산
비지정문화유산
정문
정문
검색
공유
sns 공유 목록 닫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인쇄
미리보기 문서로 변환중입니다.
최유경 부자효자문
분류
비지정문화유산 >
거주지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산11
지정
비지정 문화유산
시대
조선 성종대(成宗代)
규모
2평(맞배지붕)
재료
목조기와집
관련 이미지
상세내용
이 정문(旌門)은 최유경(崔有慶)・최사흥(崔士興) 부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최유경(1343~1413) 은 고려 말기에서부터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본관(本貫)은 전주(全州), 자(字)는 경지(慶之) 호(號)는 죽정(竹亭), 시호(諡號)는 평도(平度)로 청주 다율리(多栗里 : 현 대율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공민왕대(恭愍王代)에 사헌장령(司憲掌令) 우왕대(瑀王代)에 전법총랑(典法摠郞), 양광도(楊廣道) 안렴사(按廉使)를 거쳐서 농민에 대한 시폐(時弊)를 시정하고, 우왕이 요동(遼東) 정벌군을 출발시킬 때 서북면(西北面) 전운사(轉運使)로 찰방(察訪)을 겸하였다.
최영(崔營)이 물려난 뒤에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고, 이성계(李成桂)가 즉위하자 원종공신(原從公臣)에 책록(冊錄)되고, 경기, 충청도 도체찰사(都體察使)를 거쳐 경기우도(京畿右道) 관찰사(觀察使)를 지냈다.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가 되어 사신(使臣)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판한성부사(判漢成府事)에 보직되었다가 사직하였다.
관직을 떠나 현 초평면 죽정리로 내려와 죽정(竹亭)이라 자호(自號)하고 한가로이 지내다가 태종 13년(1413) 71세로 사망하였다.
그는 평소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부친상을 당하여 6년간의 묘막생활(墓幕生活)을 하고도 슬픔을 씻지 못하였다한다.
그의 아들 역시 효성이 지극하여 모친이 병석에 눕자 자기의 허벅지를 베어 봉양하는 등 부자(父子)의 효행이 조정(朝廷)에 알려져 성종께서 정문(旌門) 창건을 명하였다.
정문은 정면(正面) 2간(間), 측면(側面) 1간(間)으로 되어 있다.
※ 자료 : ①[國史大事典] (下) ②[文化遺蹟總攬] ③[文化財調書] ④[文化遺蹟總攬]
찾아오시는 길
지도 건너뛰기
목록
자료관리 담당자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43-539-4082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