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진천군 홈페이지 진천관광

뛰어난 자연경관,
찬란한 역사

진천

미리보기 문서로 변환중입니다.

0크기변환_만뢰사.jpg
만뢰사
  • 분류비지정문화유산 >
  • 거주지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 산 81
  • 지정비지정 문화재
  • 시대조선/조선 후기

관련 이미지

0크기변환_만뢰사.jpg

상세내용

병자호란 당시 의병장인 조감(趙瑊)은 만노성에서 유창국(柳昌國)과 더불어 통솔자가 없어 방황하는 수천 명의 피난민을 이끌고 만노성에 침입한 외적을 물리친 공을 세웠다. 조감은 사후에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올랐다. 만뢰사(萬賴祠)에 조감의 위패를 모셔 놓고 그 공적을 후손이 기리도록 하고 있다.

1851년(철종 2) 백곡면 가죽리에 죽계사(竹溪祠)를 세워 김유신(金庾信)과 함께 조감을 배향하였다가 고종 때의 서원철폐령으로 죽계사가 철거되면서 배향을 하지 못하였다. 해방 후인 1949년 진천 길상사(吉祥祠)에서 다시 조감을 배향하였다가, 1961년 후손들과 지방 유림들의 노력으로 지금의 백곡면 갈월리 강당마을에 새로 만뢰사를 건립하여 조감을 배향하게 되었다.

※ 자료 : 디지털진천문화대전


 

개설



병자호란 당시 의병장인 조감(趙瑊)은 만노성에서 유창국(柳昌國)과 더불어 통솔자가 없어 방황하는 수천 명의 피난민을 이끌고 만노성에 침입한 외적을 물리친 공을 세웠다. 조감은 사후에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올랐다. 만뢰사(萬賴祠)에 조감의 위패를 모셔 놓고 그 공적을 후손이 기리도록 하고 있다.


 

변천



1851년(철종 2) 백곡면 가죽리에 죽계사(竹溪祠)를 세워 김유신(金庾信)과 함께 조감을 배향하였다가 고종 때의 서원철폐령으로 죽계사가 철거되면서 배향을 하지 못하였다. 해방 후인 1949년 진천 길상사(吉祥祠)에서 다시 조감을 배향하였다가, 1961년 후손들과 지방 유림들의 노력으로 지금의 백곡면 갈월리 강당마을에 새로 만뢰사를 건립하여 조감을 배향하게 되었다.

찾아오시는 길

자료관리 담당자
  •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43-539-4082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