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불상은 광배(光背)까지 하나의 돌로 만든 큰 불상이다. 진천(鎭川)지방에서 산견(散見) 되는 대부분의 석불(石佛)이 큰 불상인 점에서 이 석불도 그러한 유행의 소작(所作)이라고 볼 수 있다.
머리는 관모(冠帽)를 썼으며 얼굴은 살이 많이 쪘고 눈과 코의 일부는 마멸되었다.
귀는 크고 길게하여 어깨까지 가까이 닿게 하였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넓은 어깨에 통견의(通絹衣)가 걸쳐 있고 법의 (法衣)는 비교적 두껍게 표현되었다. 오른손과 왼손은 손가락을 접어 내장(內掌)하여 모두 가슴에 대고 있는 모습이고 광배는 배의 모양으로 되었으며 머리 위로 삼구(三軀)의 화불(化佛)을 연줄기 무늬위에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무릎 아래의 표현은 현재 사찰측이 목조로 예배단(禮拜壇)을 조성하여 알 수 없으나 사찰측의 설명으로는 좌상(坐像)으로 별다른 조각이 없다는 것이다. 불상의 형식과 성림사 주변에서 흔하게 눈에 띄는 기와 조각등으로 보아 고려중기(高麗中期) 이후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불상의 실측치(實測値)는 두고(頭高) 68㎝, 이장(耳長) 36㎝, 견폭(肩幅) 84㎝, 수장(手 帳) 33㎝, 수폭(手幅) 29㎝, 화불고(化佛高) 25㎝, 두께 60㎝이다.
※ 자료 : 진천군 문화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