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분야별 정보
바로가기
분야별 정보
사회복지
재난/안전
산업/경제
환경/위생
세금/재정
부동산/건축
교육/문화
농업기술센터
보건소
체육진흥지원단
진천군청
열린군수실
진천군의회
진천관광
생거진천자연휴양림
일자리지원센터
공공체육시설
분야별 정보
로그인
KOR
ENG
CHN
JAP
VIET
진천군 홈페이지
진천관광
분야별 정보
메뉴닫기
문화/유적/공원
문화
진천종박물관
박물관소개
관람정보
전시/교육
예약/신청
기증 기탁
알림마당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미술관소개
이용안내
전시안내
판화체험안내
체험프로그램 신청
알림마당
포석조명희문학관
문학관소개
시설안내
프로그램 안내
예약/신청
주철장전수교육관
화랑관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참숯전시관
전시관소개
참숯정보
참숯판매처
프로그램안내
휴양림/공원/산림
휴양림/공원
만뢰산 자연생태공원
역사테마공원
화랑공원
생거진천 자연휴양림
미르숲
산림
임도
공원현황
등산로현황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기념물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비지정문화유산
사당
정문
비
전통사찰
불교유적
절터
정자
관방유적
기타
디지털진천문화대전
관광명소
추천명소
진천종박물관
주철장전수교육관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역사테마공원
배티성지
보탑사
진천 전통시장
중앙시장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농다리
농다리 스토리움
초롱길
하늘다리
초평호
초평호 미르309 출렁다리
한반도지형
초평붕어마을
포석조명희문학관
역사문화
길상사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연곡리 석비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정송강사
진천향교
이상설 생가‧기념관
산수리 마애여래좌상
생태자연
교육체험
여가생활
진천VR투어
추천명소
역사문화
생태자연
교육체험
농촌체험마을
상산팔경
상산팔경은?
재미있는이야기
추천코스
역사탐방 코스
웰빙관광 코스
문화관광 코스
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갤러리
생거진천농다리축제
연간 문화예술행사 및 축제 안내
공연/전시/프로그램
공연/전시
체험/기타
프로그램 신청
여행도우미
교통정보
시내버스
시외버스
숙박 정보
숙박업소
농어촌민박
음식점 정보
자랑거리 100선
두근두근 생거진천보물찾기
문화ㆍ관광
경제ㆍ사회
교육
여행코스
관광안내지도 다운로드
관광안내지도신청
관광통역안내전화
문화관광해설사
관광지간 거리안내
로그인
ENG
CHN
JAP
VIET
인기검색어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뛰어난 자연경관,
찬란한 역사
진천
문화/유적/공원
문화
휴양림/공원/산림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기념물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비지정문화유산
사당
정문
비
전통사찰
불교유적
절터
정자
관방유적
기타
디지털진천문화대전
홈
문화/유적/공원
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기념물
기념물
검색
공유
sns 공유 목록 닫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인쇄
미리보기 문서로 변환중입니다.
진천 대모산성
분류
지방지정문화유산 > 기념물
거주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 산5-1
지정
지방기념물 제83호(1990. 12. 14)
시대
삼국시대
규모
1,260m
관련 이미지
상세내용
남쪽으로 넓은 평야를 끼고 있는 해발 100m 정도의 낮은 구릉성 산지를 이용하여 판축공 법(版築工法)으로 축조된 포곡식(包谷式)의 산성이다. 할미성이라 불리며 동·서로 연결된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서쪽의 것은 내성과 본성이라 부르고 동쪽의 것을 외성이라 부른다.
성의 총길이는 1,260m에 이르고 있으며 계곡의 남쪽으로 문터라 여겨지는 부분이 있고, 외성의 북쪽에도 문터가 있다. 본성의 성벽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판축되었는데, 그 속에서 회청색의 무늬 찍힌 토기편이 나오고 있어서 대략 4세기 이후의 축성이라 여겨진다. 외성은 성벽의 앞에 기초부분을 냇자갈돌로 만들고 점토가 많이 섞인 흙으로 판축하였다. 성의 외부는 경사가 급한 지형을 이루고 있으나 안쪽은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다.
성안에서 석기편과 조선시대의 자기편까지 출토되어, 삼국시대 초기부터 계속 사용되었다가 고려 시대 말기 일시적으로 폐허화되고, 조선시대에는 민가가 있었던 듯 하다. 성의 바깥에서는 최근에 백제초기의 저장구덩과 더욱 오래된 시기의 움무덤, 신라의 돌방무덤이 조사되었다. 이를 참고하여 산성의 축조는 삼국시대 초기인 서기 1~2세기까지 소급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고대사회의 역사연구에 매우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 자료 : 진천군 문화유적
찾아오시는 길
지도 건너뛰기
목록
자료관리 담당자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43-539-4082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