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분야별 정보
바로가기
분야별 정보
사회복지
재난/안전
산업/경제
환경/위생
세금/재정
부동산/건축
교육/문화
농업기술센터
보건소
체육진흥지원단
진천군청
열린군수실
진천군의회
진천관광
생거진천자연휴양림
일자리지원센터
공공체육시설
분야별 정보
로그인
KOR
ENG
CHN
JAP
VIET
진천군 홈페이지
진천관광
분야별 정보
메뉴닫기
문화/유적/공원
문화
진천종박물관
박물관소개
관람정보
전시/교육
예약/신청
기증 기탁
알림마당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미술관소개
이용안내
전시안내
판화체험안내
체험프로그램 신청
알림마당
포석조명희문학관
문학관소개
시설안내
프로그램 안내
예약/신청
주철장전수교육관
화랑관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참숯전시관
전시관소개
참숯정보
참숯판매처
프로그램안내
휴양림/공원/산림
휴양림/공원
만뢰산 자연생태공원
역사테마공원
화랑공원
생거진천 자연휴양림
미르숲
산림
임도
공원현황
등산로현황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기념물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비지정문화유산
사당
정문
비
전통사찰
불교유적
절터
정자
관방유적
기타
디지털진천문화대전
관광명소
추천명소
진천종박물관
주철장전수교육관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역사테마공원
배티성지
보탑사
진천 전통시장
중앙시장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농다리
농다리 스토리움
초롱길
하늘다리
초평호
초평호 미르309 출렁다리
한반도지형
초평붕어마을
포석조명희문학관
역사문화
길상사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연곡리 석비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정송강사
진천향교
이상설 생가‧기념관
산수리 마애여래좌상
생태자연
교육체험
여가생활
진천VR투어
추천명소
역사문화
생태자연
교육체험
농촌체험마을
상산팔경
상산팔경은?
재미있는이야기
추천코스
역사탐방 코스
웰빙관광 코스
문화관광 코스
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생거진천문화축제 갤러리
생거진천농다리축제
연간 문화예술행사 및 축제 안내
공연/전시/프로그램
공연/전시
체험/기타
프로그램 신청
여행도우미
교통정보
시내버스
시외버스
숙박 정보
숙박업소
농어촌민박
음식점 정보
자랑거리 100선
두근두근 생거진천보물찾기
문화ㆍ관광
경제ㆍ사회
교육
여행코스
관광안내지도 다운로드
관광안내지도신청
관광통역안내전화
문화관광해설사
관광지간 거리안내
로그인
ENG
CHN
JAP
VIET
인기검색어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뛰어난 자연경관,
찬란한 역사
진천
문화/유적/공원
문화
휴양림/공원/산림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기념물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비지정문화유산
사당
정문
비
전통사찰
불교유적
절터
정자
관방유적
기타
디지털진천문화대전
홈
문화/유적/공원
문화유산
지방지정문화유산
기념물
기념물
검색
공유
sns 공유 목록 닫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인쇄
미리보기 문서로 변환중입니다.
진천 이거이 묘소
분류
지방지정문화유산 > 기념물
거주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산45-1
지정
지방기념물 제95호(1994. 6. 24)
시대
조선 태종(太宗) 12년(1412)
관련 이미지
상세내용
이거이(李居易) 공은 문간공(文簡公) 이정(李挺)의 4째 아들로 자(字)는 낙천(樂天)이며 호(號)는 청허당(淸虛堂), 본관(本貫)은 청주(淸州)이다.
문백면 사양리(文白面 思陽里)에서 태어나 고려말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태조2년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를 거쳐, 1397년 평안도 병마절제사 (平安道 兵馬節制使),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使), 판한성부사 (判漢城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태조(太祖) 조선 건국에 공이 있으며, 제1차 왕자의 난때 일등정사공신(一等定社功臣)이 되었고, 정종 2년(1400) 문하 좌정승(門下 左政丞)에 올랐으나, 사병(私兵)제도를 혁파하여 삼군부(三軍府)에 소속시키고자 하는 것을 반대하다가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좌천되었다.
정종(正宗) 2년(1400) 11월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좌의정(左議政)이 되었고 태종2년 (1402) 영사평부사(領司平府事)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에 봉하여졌으나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고 아들 저(佇)와 함께 진천에 내려와 살았다.
시호(諡號)는 문도(文度)라 하였으며 묘소에는 묘갈(墓碣)과 문인석(文人石), 무인석(武人石)이 있고 묘소 진입로변(進入路邊)위에 비신높이 120cm의 신도비(神道碑)와 마을 입구에 토지를 하사(下賜)받은 사패비(賜牌碑)가 있다.
※ 자료 : 진천군 문화유적
찾아오시는 길
지도 건너뛰기
목록
자료관리 담당자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43-539-4082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