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진천군 홈페이지 진천관광

뛰어난 자연경관,
찬란한 역사

진천

미리보기 문서로 변환중입니다.

0크기변환_이시발신도비-1.jpg
진천 이시발 신도비
  • 분류지방지정문화유산 > 유형문화유산
  • 거주지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192-11
  • 지정지방유형문화재 제142호 (1984.12.31)
  • 시대1658년(효종 9)
  • 규모높이 2.5m, 폭0.9m
  • 재료화강암(花崗岩)

관련 이미지

0크기변환_이시발신도비-0.jpg 0크기변환_이시발신도비-1.jpg

상세내용

이시발은 자(字)가 양구(養久)요 호(號)는 벽오(碧梧)이고 경주인(慶州人)으로 오촌 대건(梧村大建)의 아들로 청원군 오창면 오근리(현 청주시 오근장)에서 선조(宣祖) 2년(1569년)에 태어났다.

오자(梧字)는 오근리(梧根里)의 연고를 딴 것으로 그의 부친의 묘(墓)를 시발(時發)이 죽은 뒤 초평면 용정리로 이장(移葬)하고 그 뒤 자손이 늘어나 초평 이씨(草坪 李氏)의 호칭이 붙었다.

선조 22년(1589년)에 문과(文科)에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고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 어나자 의병장 박춘무(朴春茂)와 함께 큰 공을 세웠으며 선조 29년(1596년)10월 이 몽학의 난(李夢鶴亂)을 평정하고 장락원정(掌樂院政) 형조판서(刑曹判書)와 북변(北邊)을 방어하기 위해 함경감사로 포대와 성곽을 보수하였다.

이괄의 난(李适亂)때 체찰부사(體察副使)로서 난을 수습하는데 공을 세우고 남한산성의 역사(役事)를 감독하다 죽었다. 이에 사후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고 시호(諡號)는 충익(忠翼)이다.

이 신도비(神道碑)는 선조 광해군 인조의 삼대왕(三代王)을 잘 섬기면서 여진인(女眞人)을 무마하여 백성의 생활에 안정을 주고 지방민(地方民)을 평온하게 하였던 공(攻)을 찬양하였다.

효종(孝宗) 9년 (1658년)에 건립된 이 비의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지었으며 서(書)는 송 준길(宋浚吉) 이,전(篆)은 이정영(李正英)이다.

※ 자료 : 진천군지

찾아오시는 길

자료관리 담당자
  •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43-539-4082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