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 이용 안전수칙
엔진을 정지하고 키를 뺀다. 변속레버는 저속에 놓고 주차브레이크를 걸어놓아야 하며 경사지에서는 받침 목을 고여 놓아야 한다. 도로변에 농기계를 정차할 때에는 비상점멸등을 켜둔다.
벨트나 체인, 탈곡장치, 경운날 등을 점검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끄고 점검해야 한다. 또 기체가 심하게 기울어진 상태 또는 작업기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밑에 들어가 점검할 때는 반드시 받침대를 설치해야 한다.
승하차는 승차용 계단과 손잡이를 이용한다. 페달, 신발은 청결히 하고 운전석 바닥에 공구, 음료수병 등을 두지 말아야 한다. 미끄러지거나 페달조작의 어려움으로 위급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사용설명서를 숙지하고 작업 전에는 반드시 각부를 점검하여 이상이 있으면 즉시 조치한 다음 작업을 시작한다.
헐렁한 옷이나 소매가 긴 옷, 장갑을 착용하고 농업기계를 다루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신발은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된 안전화를 착용하고 긴 머리는 뒤로 묶거나 모자 속으로 집어넣고 작업한다.
나도 사고를 당할 수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언제나 초보자라는 생각으로 신중하게 농작업을 하는 것이 사고예방의 지름길이다.
주행 중에 엉거주춤한 자세로 모매트를 보급할 경우 논 경반의 요철 또는 작업화에 묻어 있는 진흙과 물기에 의해 미끄러지기 쉽다.
조급하게 일을 마치려고 서두르거나 무리하게 작업을 하다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2시간 정도 작업을 한 후에는 반드시 휴식을 취한다.
경운기, 트랙터의 옆 좌석이나 트레일러에 사람을 태우고 도로를 이동할 경우 운전자의 주의력을 저하시켜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논두렁을 비스듬하게 넘을 경우 기계가 뒤집힐 수 있다. 작업기는 낮게 내리고 천천히 직각방향으로 넘어야 한다.
가급적 후진을 하지 않아야 하고, 후진을 할 경우에는 후방에 장애물 이 없는지 확인한 다음 엔진 회전수를 낮추고 저속으로 후진한다.
조향클러치 사용은 지극히 저속으로 진행하거나 농작업시 선회할 때만 사용하도록 한다. 고속으로 달리거나 내리막길에서 조향클러치를 사용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야간주행에서는 등화장치를 점등하고, 반사판, 반사씰 등으로 상대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눈에 띄게 함과 동시에 최대 폭이 멀리서도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도로에서 트랙터 독립브레이크를 사용하면 급회전으로 인하여 전복되거나 차량과 충돌로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도로에서 선회를 할 때는 반드시 방향지시등을 작동하고, 야간에는 등화장치를 작동하여 방어운전을 한다. 특히 교차로 통행시나 도로로 진입할 때에는 전후좌우를 충분히 살핀 다음 진행한다.
경운기 교통사고
도로주행 농기계는 반드시 등화장치를 부착하고, 농촌지역 도로에서 차량운전자는 서행하여 사고를 예방하여야 함.
트랙터 전복사고
논에는 적절한 폭과 경사를 가진 출입로를 설치해야 하며, 논·밭 출입시는 반드시 직각방향으로 진행해야 함.
경운기 도로주행 시 동승자 탐승
운전자 외 좌석 또는 트레일러에 사람을 태우면 운전자의 주의력을 떨어뜨려 안전사고의 원인이 됨.
영농철 농기계 사고예방 현수막
농촌지역 도로에 현수막을 설치하여 농기계 및 자동차 운전자에게 사고예방을 위한 경각심 고취
겨울철 농기계 보관관리 요령
농기계는 사용하는 기간보다 보관하는 기간이 길어 보관관리에 따라 농기계의 수명이 달라지므로 겨울철 보관관리를 잘 해야 합니다.
농기계 관리요령
농기계는 사용하는 기간보다 보관하는 기간이 훨씬 길어 보관중의 관리 상태에 따라 농기계의 수명이 달라집니다. 농기계를 노지에 보관할 경우에는 눈과 비 등을 맞아 수명이 내구연한의 8∼38%까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관 전에 농기계를 청소, 점검·정비하고, 주유와 오일교환은 물론 냉각수와 연료 및 녹슬음 방지 처리를 한 후 눈·비를 맞지 않는 보관시설 내에 보관해야 합니다.
엔진의 라디에이터 망에 붙은 먼지와 검불, 점화플러그, 기화기, 공기청정기의 이물질, 방제기 및 양수기의 펌프와 호스 내부에 있는 농약과 모래 및 물기, 바퀴에 붙어 있는 흙 등을 깨끗이 청소합니다. 물청소를 하게 될 경우에는 공기청정기, 머플러, 주유플러그, 전기장치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청소 후에는 2∼3분간 운전을 하여 물기를 말립니다. 모든 기계장치의 회전부, 작동부, 마찰부, 케이블 등에 새 오일과 그리스를 주입합니다. 플라스틱이나 고무제품은 오일이 묻으면 녹거나 변형되니 주의해 야 합니다.
엔진오일은 운전 직후 오일이 데워진 상태에서 교환한 후 약 5∼10분 정도 공회전시켜 각 부위에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합니다. 묵은 오일과 새 오일, 종류가 다른 오일 등 오일을 섞어 사용하면 오일이 변질 되기 쉬우니 섞어 사용하지 않습니다. 냉각수를 제거한 후에는 잘 보이는 곳에 “물 없음” 표시를 부착하여 냉각수가 없는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가 없도록 합니다. 부동액은 냉각기통을 씻어낸 후 새 부동액을 공급하고, 교환한지 얼마되지 않은 경우에는 부동액의 농도를 확인해 보충합니다. 경유를 사용하는 농기계는 연료를 가득 채워 넣고, 분사펌프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유에 10W오 일을 10%정도 넣고 10∼30분 동안 가동한 다음 연료코크의 레버를 가로로 놓아 연료의 흐름을 차단합니다.
엔진은 공기흡입관의 마개를 풀거나 점화플러그를 뽑고 실린더 안에 약간의 새 엔진오일을 넣은 후 시계방향으로 6∼7회전 공회전 시킵니다. 그 다음, 압축이 걸리는 지점에 피스톤을 두어 배기·흡기밸브가 모두 닫히게 하고 풀어낸 마개나 뽑은 점화플러그는 다시 조여 줍니다. 축전지는 합선방지를 위해 농기계에서 “-”단자부터 분리하고 “+”단자를 나중에 분리합니다. 전해액이 부족하면 약국에서 판매하는 증류수로 보충한 후 충전합니다. - 및 + 단자와 용액을 보충할 수 있는 축전지는 주입구 캡의 공기구멍 등을 청소한 후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10℃∼40℃의 장소에 보관합니다.
습기가 적고 햇볕이 들지 않는 시설 내에서 보관 농기계는 습기가 없고 햇볕이 들지 않으며, 비바람이 들여 치지 않는 시설 내에 보관해야 녹슬지 않습니다. 특히 먼지는 전기장치의 작동을 나쁘게 하므로 보관 중에는 창문을 닫아 먼지로부터 피해가 없도록 하고, 덮개는 머플러가 식은 뒤에 씌웁니다. 열쇠를 꽂아두면 자칫 축전지가 방전되거나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될 수 있으니 반드시 열쇠를 빼 놓아야 합니다. 고무바퀴는 평소보다 공기를 더 넣거나 바퀴가 눌리지 않게 몸체를 들어 올린 상태로 받쳐주되 기계가 굴러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트랙터는 웨이트를 제거하여 가볍게 해주고 작업기는 판재 위에 놓아 녹스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클러치 페달은 고정용 고리에 걸거나 나무토막을 끼워 클러치판이 서로 떨어지도록 합니다. 2∼3개월 동안 보관할 경우에는 작업기를 뗀 후 시동하여 유압레버를 상승 최고 위치에 두어 보관합니다.
농기계가 작동하고 있을 때의 소리에 대하여 소리의 고지, 불연속음 등 음의 질을 판단하는 것으로 고장요소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과부하에 의한 엔진의 노킹, 작동유 부족, 동력전달기구, 유압기구 등에 발생하는 이상음을 듣고 고장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기계의 진동이 정상인가, 비정상인가를 판단하여 고장부위, 볼트풀림 원인의 발견이 가능합니다.
회전부분 또는 많이 움직이는 부분들을 지지하는 기계의 급유상태가 불량하게 되면 고온이 될 때 소결되어 작동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또 온도가 높게 되면 소리, 색깔 등에서도 변화가 일어납니다.
압력의 측정으로 유압장치의 고장개소의 발견이 가능하고 엔진의 압축. 압력 측정으로 기밀 상태에서 판별이 가능합니다.
엔진의 배기색으로 연소상태나 고장요소가 판별됩니다. 예를 들어 디젤엔진의 배기색이 농후할 때는 연료과다 상태, 공기부족 등 연료와 흡입계통의 고장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또 오일의 변색상태, 이물질 혼입, 공기 등 혼합의 판별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물이 오일에 섞였을 때 오일의 색이 우유색으로 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