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수도의 역사

개요

  • 원 시 : 하천, 호수, 우물 등 자연수를 자유로이 이용
  • 점차 인구의 집중과 도시화로 수요가 증대 되므로 수도의 필요성 대두
  • 오늘날 우리의 일상 생활과 산업활동에 필수 기본시설로서 국민 복지 증진을 위한 주요 도시계획시설이며, 국가기관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사회간접 자본시설(S.O.C)입니다.

초기의 수도

  • 기원
    • B.C 312년 로마시대
    • 18Km의 수로(Appia)를 건설
    • 공공건물 및 허가된 특권층에 한하여 급수
    • 시설의 일부가 오늘날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중세기
    • 로마제국의 몰락과 함께 쇠퇴
    • 1527년 독일의 하노버에서 처음으로 펌프가 사용
    • 1619년 런던에서 오늘날과 같은 수도운영체계가 발달(New River 회사) → 제한급수
    • 1873년에 이르러서야 부분적인 연속 급수가 시작

근대식 수도

  • 완속사 여과법의 등장
    • 1804년 영국의 파슬리(Paisley)에 의해 처음 사용
      ※ 완속사 여과법 (Slow Sand Filtration) 또는 영국식 여과법
  • 급속사 여과법의 등장
    • 1884년 미국의 하이얕(A. Hyatt)가 황산철을 사용하는 응집법을 개발 ※ 미국식 여과법
    • 1884년 미국 뉴저지주 서머밀에서 처음 채택
    • 현재 세계 각국에서 널리 이용 중

취수시설이란?

취수란?

호소, 강 또는 해수 등을 정수처리하기 위하여 양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 대표적인 취수원으로는 팔당저수지, 낙동강, 금강 등이 있다.

취수시설이란?

호소, 강 또는 지하수 등을 취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수기 및 그 보호시설 등을 총괄해서 말합니다.

취수지의 조건

  • 최대 홍수시나 최대 갈수 시에 있어서도 계획 취수량을 확실히 취수 할 수 있는 구조
  • 장래에 있어서 수질오염을 받을 우려가 적은 양호한 수질확보
  • 유지관리가 안정 및 용이
  • 장래의 시설확장에도 유리한 장소

취수시설의 조건

취수시설의 조건
수원의 종류 취수시설
하천수 취수문,취수탑,취수들,취수관거

수원의 종류

  • 지하수
    • 강우에 의해 지표면에 떨어진 물은 지표면을 따라 흐르며 일부는 중력작용에 의해 지하로 침투, 토사나 사력의 간극 또는 암석의 공극에 충진 되거나 균열을 따라 이동하며, 일정한 기간을 지나 다시 지표나 지하로 유출되는 일련의 물 의 순환과정에 의해서 지하수가 형성됨
    • 엄격한 의미에서의 지하수는 지표면 하부의 물중 압력이 대기압 보다 큰 부분 즉, 공극이 완전히 물로 충진 된 부분인 포화대내에 포함된 물을 말한다.
  • 하천수
    • 하천 또는 계곡에 흐르는 물로서 댐이나 제방 등에 의하여 흐름의 장애를 받지 않는 물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하천수는 수량이 풍부하거나 계절에 따라 유량 및 수질의 변동이 크다. 또 경도가 낮으며, 생물량이나 용 해성 물질도 작다. 기후와 기상의 영향을 받기 쉽고 그 수질범위가 크다.
  • 호소수
    • 성층 및 전도현상 등의 작용에 의해 자정작용이 일어나고, 수질의 변동이 적으며 위생적 안전도도 높으나 반면에 조류, 취기, 망간 등에 의한 장해가
      일어나기 쉽다.
    • 특성
      • 자정속도가 느리다.
      • 오염물질을 멀리까지 운반하지 않는다.
      • 수질변화가 완만하다.
      • 미생물의 번식이 용이하다.
  • 천수
    • 우수를 주로 하며 강설 등을 포함한 모든 강수를 총칭
    • 수질은 깨끗하나 수량이 불안정하여 상수도 수원으로는 부적합 하지만 상수원 이 없는 도서지역이나 강우가 많은 지역에 이용 가능하다.

수돗물 상식

수돗물이 뿌옇다?

수돗물이 가끔 뿌옇게 나오는 경우(백수현상) 수계 조정시수도관에 공기가 유입된 경우이며, 받아두면 정상상태로 돌아갑니다.

맛 있는 물이란?

  • 수돗물이 가끔 뿌옇게 나오는 경우(백수현상) 수계 조정
  • 군 수도관에 공기가 유입된 경우이며, 받아두면 정상상태로 돌아갑니다.

수돗물에서의 소독약품 냄새

  • 냄새가 조금 나는 것이 정상이며, 안전합니다.
  • 염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물속의 세균, 대장균등을 소독하기 위해서 이며,수족관의 물교환시 수도물을 하루쯤 받아 두었다가 잔류염소 증발 후 교환하거나 염소제거제(타오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제거 후 사용하십시오.

온도의 맛

  • 콜라, 사이다 등 청량음료는10℃내외로 차야 상쾌한 맛 등 제맛이 나듯이. 약수, 생수는 보통 수온이 낮으므로 맛이 좋게 느껴집니다. 수돗물도 냉장고에 넣어 차게하여야 맛이 좋습니다.
    ※ 수돗물을 받아 염소가 증발하도록 마개를 막지 않고 30분 정도 두었다가 냉장고에 보관하여 차게 드시면 맛이 훨씬 좋습니다.

물을 끓이면?

  • 탄산성분, 용존산소 등이 없어져 맛이 저하되며, 중금속, 화학물질 등은 비등점이 수백∼수천도에 이르므로 끓인다고 제거되는 것이 아닙니다. 수돗물은 잔류염소가 함유되어 세균이 없으므로 살균이 불필요 합니다.
    ※ 수돗물은 굳이 끓여 드시지 않아도 됩니다.

수질기준

수질기준
구분 등급 이용목적별 적용대상 대 상
수소이온농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BOD×㎎/ℓ)
부유물질량
(㎎/ℓ)
용존산소량
(㎎/ℓ)
대장균수
(MPN/00㎖)
생활
환경
상수원수1급
자연환경보전
6.5~8.5 1이하 25이하 7.5이하 500이하
상수원수2급
수산용수1급
수영용수
6.5~8.5 3이하 25이하 5이상 1,000이하
상수원수3급
수산용수2급
공업용수1급
6.5~8.5 6이하 25이하 5이상 1,000이하
공업용수2급
농업용수
6.5~8.5 8이하 100이하 2이상 -
공업용수3급
생활환경보전
6.5~8.5 10이하 쓰레기등이
떠있지않을것
2이상 -
사람건강보호 전수역 카드뮴(cd):0.01㎎/ℓ이하, 비소(As):0.05㎎/ℓ, 시안(CN), 수은(Hg), 유기인,PCB:검출되어서는 안됨, 연(Pb):0.1㎎/ℓ이하, 6가크롬:0.05㎎/ℓ이하, 음이온계면활성제(ABS):0.5㎎/ℓ이하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